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미지 생성 AI 스테이블 디퓨전 설치방법 : ComfyUI 를 통한 Stable diffusion(스테이블 디퓨전) 사용

반응형

지난글에서 "스테이블 비디오" 를 통해 영상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1. 이미지 생성 AI 설치 계기 : AI 이미지를 이용한 AI 비디오 만들기 

프롬프트만을 이용해 만들어 봤는데, 이미지를 이용해 영상을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에 이미지 생성 AI 스테이블 디퓨전을 설치하고 사용해보기로 하였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은 무료로 사용 가능한 오픈소스 이미지 생성 AI 모델 입니다.

-> 프롬프트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델.

    대표 기능)

    1) 텍스트-이미지 생성: 간단한 텍스트(프롬프트)를 통해 이미지를 생성.
    2) 이미지 수정 : 기존 이미지를 새 프롬프트에 따라 수정.
    3) 인페인팅 :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새로 생성한 콘텐츠로 변경.
    3) 아웃페인팅 : 기존 이미지를 원래 가장자리 너머로 확장.
    4) 업스케일링 : 이미지 해상도를 높여.
    5) 커스터 마이징 : LoRA, embedding 의 사용을 지원.

 

2. 이미지 생성 AI 선정(스테이블 디퓨전 프레임워크) : ComfyUI

스테이블 디퓨전을 사용하는 프레임워크가 많은데 그중 ComfyUI를 설치하여 보았습니다.

스테이블 디퓨전을 사용하는 많은 프레임워크 중 유명한 것은 Stable Diffusion web UI 와 ComfyUI 입니다.

사용전 찾아보니 많이 사용하는 Stable Diffusion web UI  보다 속도가 빠르며 익숙해지면 커스터마이징 가능한 것들이 많다하여, Comfy UI를 설치하여 사용해 보기로 마음을 먹었습니다.

.
3. ComfyUI 특징 : 직관적 인터페이스

ComfyUI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처음에 복잡해 보일 수 있으나, 익숙해지면 직관적이고 타 사용자들의 프로세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1)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한 그래픽 레이아웃
 2) 유연성 및 사용자 정의: 모듈식 디자인으로 노드 기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미지 생성 프로세스를 정렬
 3) 커뮤니티 및 확장 기능: 타 사용자가 만든 프로세스를 사용할 수 있음

 

 

생성 이미지 1 - 자기장 폭풍을 표현

 

생성 이미지 2 - 숲속의 흐르는 물 표현

 


4. ComfyUI 사용을 위한 설치 프로그램
 1) git 설치(비필수) : ComfyUI manager를 설치하기 위함, 포터블 파일로도 설치가능
 2) comfyui 설치(필수) : ComfyUI 사용
 3) checkpoint 설치(필수) : Stable diffusion 의 그림체 등을 결정하는 것으로 필수설치 필요
 4) ComfyUI manager 설치(비필수) : 커스텀 노드관리를 위해 사용(구동에 필수적이지 않으나, ComfyUI의 원활한 사용을 위해 필요)

 -> ComfyUI 사용시 ComfyUI manager 는 사실상 필수라 하여 1,4를 설치하였습니다.

     ComfyUI manager 가 불필요하신 분은 2,3만 설치해도 됩니다.

 

5. 설치 과정

아래는 각 항목별로 설치한 과정입니다.

 

1) git 설치(비필수)
 (1) Git 웹사이트 : https://git-scm.com/downloads 

 (2)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및 설치

git 설치홈페이지 화면
git 설치 화면과 설치완료 화면


2) ComfyUI 설치(필수)
 (1) ComfyUI GitHub 홈페이지 : https://github.com/comfyanonymous/ComfyUI

홈페이지 화면

(2) ComfyUI 설치 : 홈페이지 하단의 "installing" 에서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Direct link to download 를 눌러 설치한다. 위는 윈도우용.
다운로드된 파일의 모습

 

(3) 압축해제

압축해제 후 모습

 

(4) PC에 맞게 "run_cpu" 또는 "run_nvidia_gpu"로 실행을 한다.

실행이 완료된 모습
bat 파일이 실행이 완료되면 웹페이지에 위와 같은 화면이 뜬다.

 

위와 같은 상태로 실행하면 오류가 난다(체크포인트가 없기 때문). 

 

설치직후 "Load Checkpoint"에 파일이 존재하지 않는다.

 

체크포인트 없이 구동했을때 에러가 발생한다.

3) 체크포인트 설치(필수)

체크포인트는 스테이블 디퓨전에서 사용하는 핵심 AI 모델입니다. LoRA와 임베딩은 이미지 출력에 맞게 수정하는 것입니다. 필수는 체크포인트이며, 인물 / 배경등에 그림체를 바꾸기 위해 LoRA와 임베딩을 사용합니다. 

이번에는 체크포인트만 다운받아보겠습니다.

 

 (1) civitai 접속 : https://civitai.com/

CIVITAI 화면

(2) 상단의 "Models"을 클릭

model이 공유되는 화면이다.

(3) checkpoint 검색(필요시 LoRA, Embedding도 다운)

filter를 눌러 "Checkpoint"가 포함되도록 한다.

(4) 원하는 Checkpoint 를 클릭하여 다운로드를 한다.

다운로드 아이콘을 클릭하면 정보가 나온다.

(5) 다운받은 Checkpoint 파일을 아래 경로에 옮긴다.
  : ComfyUI_windows_portable\ComfyUI\models\checkpoints

위 경로에 다운받은 Checkpoint 파일을 옮긴다.



(6) ComfyUI를 실행하여 "Load Checkpoint" 를 지정해준다.

체크포인트가 설치돼있어야 구동이 가능하다


4) ComfyUI manager 설치

 (1) github 다운로드 홈페이지: https://github.com/ltdrdata/ComfyUI-Manager 

     → (2) 코드로 바로 넘어가도됨

ComfyUI manager 홈페이지 접속화면

(2) git 명령어 복사 : git clone https://github.com/ltdrdata/ComfyUI-Manager.git

  : 설치를 위해 위 명령어를 복사한다.

github의 ComfyUI manager을 설치하는 방법중 git clone을 이용하는 방법

 

(3) 설치폴더 접속 : ComfyUI_windows_portable\ComfyUI\custom_nodes

폴더 접속 경로

(4) custom_nodes 에서 "power shell"창 열기

 → SHIFT + 우클릭 

왼쪽 : 폴더에서 "우클릭"만 하였을 경우, 오른쪽 : "Shift"를 누른채 "우클릭" 하였을 경우

 

(5) (2)에서 복사한 명령어를 그대로 입력 후 엔터

(2)에서 복사한 문구를 입력 후 엔터를 친다.

 

(6) 폴더에 ComfyUI manager 폴더가 생긴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설치 완료된 모습

 

반응형